고객을 유인하는 앵커 테넌트의 힘
고객을 유인하는 힘 앵커테넌트
고객을 유인하는 앵커 테넌트의 힘
유명 연예인의 부인인 P씨는 노후화된 건물을
매입해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카페인 스타벅스를
입점시키려고 계획을 세웠다.
스타벅스는 건물주들이 가장 선호하는 임차인이다.
그러다보니 건물주들은 스타벅스의 입점을 위해
스타벅스의 콘셉트에 맞춰 건물을
신축․리모델링할 뿐만 아니라, 건물주에 불리하지만
‘수수료 매장(매출에 비례해 임대료를 내는 구조)’ 형태도
받아들인다.
그 이유는 스타벅스가 입점하면 대부분 5년 이상
장기계약을 하고, 이 카페를 찾는 많은
고객들 덕분에 건물이 살아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중에 건물을 매각할 때에도
스타벅스가 입점한 건물이라고 하면
시세보다 프리미엄을 더 받을 수 있다.
P씨는 이런 ‘스타벅스 효과’를 이용한 투자의 달인이다.
2011년 10월 대지 면적 177.2㎡,
연면적 469.75㎡, 지하 1층~지상 4층짜리
서울 성북구 동선동 빌딩을 29억원에 매입하여
모든 층에 스타벅스를 입점시켰다.
스타벅스가 들어오자 월세는 기존 970만원에서
1,650만원으로 올랐으며 7년간의 장기계약을 통해
공실 걱정도 안하게 되었다.
스타벅스가 들어오자 그 빌딩에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고 P씨는 매입 3년여 만에
이 건물을 46억 6천만원에 매각했다.
각종 비용을 제외해도 10억원이 넘는 시세차익을 남긴 것이다.
첫 빌딩 투자를 성공적으로 끝낸 P씨는
서초구 방배동에서도 스타벅스가
입점할 만한 건물을 물색했다. 2014년 10월
함지박사거리 주변의 대로변 코너에
식당과 주차장 등으로 사용 중인 건물
(대지 면적 734.4㎡, 연면적 283㎡)을
88억원(3.3㎡당 3,961만원)에 사들여
5층 건물로 새로 신축을 했다.
미리 스타벅스 입점을 검토하고
건물을 신축했기 때문에 공사를 마치자마자
이 빌딩의 1층에 가장 먼저 스타벅스가 입점했다.
그 동네에는 없었던 스타벅스가 입점을 하자
사람들은 이 빌딩에 몰리기 시작했고,
그 효과로 다른 층 역시 약국, 병․의원,
헤어숍 등 우량 임차인이 입점을 했다.
매입 당시 88억원이었던 이 건물은
현재 약 150억원으로 시세가 2배 가까이 뛰었다.
# 앵커 테넌트로 건물의 가치를 높여라
앵커 테넌트란 쇼핑센터로 대중을
유인하는 유명점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논현동 먹자상권하면
백종원 가게, 이태원은 홍석천 가게,
강남역은 최근 이슈가 되었던 쉑쉑버거 등이 그것이다.
유명점포를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고
사람들이 모이게 되는 것이 빌딩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이런 앵커 테넌트의 힘은 대단하다.
앵커 테넌트 근처에 있거나 직접
앵커 테넌트가 되어 집객을 유도한다면
그 지역의 명소가 되면서 빌딩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앵커 테넌트가 들어온다고 하면
건물주는 일정 부분 손해를 보더라도
입점시키려 하고, 앵커 테넌트가
들어오면 향후 매각시에도 인근 건물들보다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앞의 사례처럼 앵커 테넌트가 될 만한 스타벅스 등
유명 프랜차이즈 임차인이 들어갈 만한
건물을 매입한 후 그러한 임차인이 들어올
환경(신축․리모델링 등)을 만드는 방법은
빌딩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성공적인
빌딩 투자법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빌딩 투자 전 앵커 테넌트를
입점시킬 계획을 미리 세우고 투자를 한다면
성공적인 빌딩 투자를 할 수 있다.
유명 연예인의 부인인 P씨는 노후화된 건물을
매입해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카페인 스타벅스를
입점시키려고 계획을 세웠다.
스타벅스는 건물주들이 가장 선호하는 임차인이다.
그러다보니 건물주들은 스타벅스의 입점을 위해
스타벅스의 콘셉트에 맞춰 건물을
신축․리모델링할 뿐만 아니라, 건물주에 불리하지만
‘수수료 매장(매출에 비례해 임대료를 내는 구조)’ 형태도
받아들인다.
그 이유는 스타벅스가 입점하면 대부분 5년 이상
장기계약을 하고, 이 카페를 찾는 많은
고객들 덕분에 건물이 살아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중에 건물을 매각할 때에도
스타벅스가 입점한 건물이라고 하면
시세보다 프리미엄을 더 받을 수 있다.
P씨는 이런 ‘스타벅스 효과’를 이용한 투자의 달인이다.
2011년 10월 대지 면적 177.2㎡,
연면적 469.75㎡, 지하 1층~지상 4층짜리
서울 성북구 동선동 빌딩을 29억원에 매입하여
모든 층에 스타벅스를 입점시켰다.
스타벅스가 들어오자 월세는 기존 970만원에서
1,650만원으로 올랐으며 7년간의 장기계약을 통해
공실 걱정도 안하게 되었다.
스타벅스가 들어오자 그 빌딩에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고 P씨는 매입 3년여 만에
이 건물을 46억 6천만원에 매각했다.
각종 비용을 제외해도 10억원이 넘는 시세차익을 남긴 것이다.
첫 빌딩 투자를 성공적으로 끝낸 P씨는
서초구 방배동에서도 스타벅스가
입점할 만한 건물을 물색했다. 2014년 10월
함지박사거리 주변의 대로변 코너에
식당과 주차장 등으로 사용 중인 건물
(대지 면적 734.4㎡, 연면적 283㎡)을
88억원(3.3㎡당 3,961만원)에 사들여
5층 건물로 새로 신축을 했다.
미리 스타벅스 입점을 검토하고
건물을 신축했기 때문에 공사를 마치자마자
이 빌딩의 1층에 가장 먼저 스타벅스가 입점했다.
그 동네에는 없었던 스타벅스가 입점을 하자
사람들은 이 빌딩에 몰리기 시작했고,
그 효과로 다른 층 역시 약국, 병․의원,
헤어숍 등 우량 임차인이 입점을 했다.
매입 당시 88억원이었던 이 건물은
현재 약 150억원으로 시세가 2배 가까이 뛰었다.
# 앵커 테넌트로 건물의 가치를 높여라
앵커 테넌트란 쇼핑센터로 대중을
유인하는 유명점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논현동 먹자상권하면
백종원 가게, 이태원은 홍석천 가게,
강남역은 최근 이슈가 되었던 쉑쉑버거 등이 그것이다.
유명점포를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고
사람들이 모이게 되는 것이 빌딩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이런 앵커 테넌트의 힘은 대단하다.
앵커 테넌트 근처에 있거나 직접
앵커 테넌트가 되어 집객을 유도한다면
그 지역의 명소가 되면서 빌딩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앵커 테넌트가 들어온다고 하면
건물주는 일정 부분 손해를 보더라도
입점시키려 하고, 앵커 테넌트가
들어오면 향후 매각시에도 인근 건물들보다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앞의 사례처럼 앵커 테넌트가 될 만한 스타벅스 등
유명 프랜차이즈 임차인이 들어갈 만한
건물을 매입한 후 그러한 임차인이 들어올
환경(신축․리모델링 등)을 만드는 방법은
빌딩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성공적인
빌딩 투자법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빌딩 투자 전 앵커 테넌트를
입점시킬 계획을 미리 세우고 투자를 한다면
성공적인 빌딩 투자를 할 수 있다.